심리학

심리학의 주요 이론, 무의식에 대해서 알아보자!

날아라 일리리 2024. 3. 31. 06:33

무의식

무의식(독일어: Unbewusste) 또는 "무의식"은 자신과 주변 환경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  경계하지 않는 정신 상태를 말한다. 그것은 두뇌 활동입니다. 그리고 사람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고 과정. , 기억이나 동기 없이 자동으로 발생하거나 작동할 수 있는 정신적 또는 심리적 활동.

 

이 개념은 오스트리아의 신경학자이자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에 의해 대중화되었습니다. 정신분석학 이론에서는 무의식의 행위가 꿈, 농담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나타난다. 프로이트가 주창한 정신분석이나  융이 주창한 분석심리학에서 무의식이란 “의식이 없는 마음의 영역”을 말한다.

 

뇌신경과학  정신분석적이지 않은 과목에서는 엄밀히 말하면 의식의 지배를 받지 않는 정신활동을 무의식적 활동이라 부르는데,  경우에는 '무의식'(과정 무의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정신분석학에서처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같은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별도의 분야로서의 무의식 개념과 달리, 신경과학이나 인지심리학에서 무의식은 과학적 연구와 실험적 데이터에 바탕을 두고 있다. 처리해야  객체와 같습니다. 예를 들어, 인지과학 연구자들은 인간이 추론을 통해 얻을  있는 것보다 의식적 자각 외부에서 더 많은 정보를 자동적, 비자발적으로 수집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의식적 사고와 자동적 사고의 무의식적 행동을 주요 예로   있다.

무의식
무의식

의식의 존재

무의식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의식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의식'은 종종 '내가 그것을 의식할  존재하고 명확하게 이해되는 것'으로 간주된다(데카르트의 『Cogito Ergo Breath』. 철학 분야에서는 의식과 자아가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다.

이렇게 의식은 주관적으로 이해되어 왔지만, 현대 과학으로 연구하면 객관적인 정의로는 부적합하고, 모호하고 한편으로는 정량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때문에 심리학 내에서도 정신, 정신, 영혼 또는 의식에 대한 연구는 아직 과학적으로 정의되지 않았으며, 자극과 대답, 심리학에 의존하려는 행동 심리학이 등장했습니다.

오늘날에도 마음의 개념과 마찬가지로 의식의 개념도 주관적으로만 이해될 뿐 그 존재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고 보는 심리학 학파가 있습니다.

 

무의식의 존재
무의식의 존재

그러나 과학적 대상으로서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고 하더라도 “의식의 존재는 그것을 인지하는 자에게 자명하다”는 명제도 참(주관적 이해)이라고  수는 있지만 옳다고  수는 없다. 올바른 것으로 간주됩니다. 과학적으로, 객관적으로 관찰해 보세요. 마음의 개념과 마찬가지로 의식의 개념도 오랫동안 존재해 왔다고 믿는 심리학자들이 많다. 적어도 대중이 무지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러므로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않더라도 의식은 여전히 ​​증거로 여겨지는 현상이다. 물론 의식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는 확인되지 않은 현상이라고 믿는 학파도 있습니다.

한편, 무의식의 존재는 어떤 의미에서 정신분석학에서는 때로는 의심스러운 시선을 받습니다. . 에리히 프롬은 정신분석학자였지만 프로이트적 의미의 무의식을 부정했고, 모리스 메를로-퐁티 같은 현상학자들은 무의식도 '수동적 의식'이며 궁극적으로는 의식의 열린 부분,  의식의 폭이라고 믿었다.

무의식의 존재

무의식의 의미1

무의식에는 크게  가지 의미가 있는데, '무의식이 있는 상태'와 '의식이 없는 마음의 영역'이다. “Unbewusst, bewusstlos, 무의식”은 강한 의미를 가지며  기능이 거의 없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인간이 살아 있는   기능은 완전히 정지되지 않으며, '거의 아무것도 없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이 모호하다.

반면, 약한 시스템에서는 이런 의미에서 '있다. 의식이 없는 것입니다. "  경우에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라는 의미도 됩니다. 예를 들어 음악을 들으면서 책을 읽으면 먼저 책에 담긴 문장의 내용과 음악을 모두 알게 됩니다. 그러나 그러나 독서에 집중하고 있는데 갑자기 무언가에 방해를 받으면 "갑자기 음악"이 들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음악은 계속 흘러나왔는데 연주에 너무 집중하다보니 음악의 진행을 '알지 못했다'.

 

의식과 기억

인간은 많은 것을 알고 있지만, 존재하는 것,  '지금 여기의 감각과 의미 자극 패턴'을 넘어서 '인지'는 넓은 의미의 '기억'이다. 기억 재구성은 특정 단어나 지식을 재현할 수도 있지만, 과거의 장면(이미지, 소리 등이 포함된)을 내부 이미지로 회상할 수도 있습니다.

 

기억은 매일 재생산되기 때문에 복잡한 시퀀스가 ​​필요한 작업에서도 자신도 모르게 개별 시퀀스를 기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복잡한 한자를   어느 줄을 그어야 할지, 다음 줄은 어디에 추가해야 할지 등을 기억하고 하나씩 적어나갈 필요가 없습니다.

 

'기억의 의식적 회상'이 없으면 현재 많은 것들이 기억될 것이고, 이미지, 감정, 의미의 '의식의 흐름'이 계속될 것이다.

그러나 여담이지만, 무언가를 기억하려고 노력하고 기억할  있다고 확신하지만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원활한 의식의 흐름이 차단되고 기억을 재현하려는 시도가 의식 속으로 들어간다.

회상하기 ​​위해 노력이나 노력이 필요한 기억은 회상이 성공할 때까지 "가벼이 흐르는 의식의 장"에 남아 있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추억은 어디에 있는 걸까요? 물론  뉴런의 구조적 관계 모델에서는 존재하지만, 주관적 경험 측면에서   그러한 기억은 '현재 의식 장' 외부에 있으며 '전의식'이라는 영역에 속한다고 간주됩니다.

 

무의식의 의미 2

일상적으로 흘러 가는 의식 속에서는, 여러 가지 「의식의 대상」이 존재하고 있다. 이 현재의 의식의 대상은, 눈앞 하고 있는 감각・의미・감정등의 패턴이지만, 또, 정체가 없는 자연스러운, 「눈치채는 일 없이」상기되고 있는 기억의 내용이, 그 대상이다.

「의식」이라는 말자체가, 「각성 의식이 있다」, 「무언가에 눈치채고 있다」라고 하는 통상적인 의미 이외에, 주체가 의식하고 있는 「대상의 총체」가 존재하고 있는 「영역」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무엇인가를 「의식하고 있다」, 또는, 무언가에 「눈치챈다」라고는, 대상이, 「의식의 영역」에 들어 오는 것, 의식에 올라 오는 것을 의미한다고도 말할 수 있다.

인간은 일생 속에서, 방대한 양의 기억을 대뇌의 생리학적인 기구에 새긴다. 그 안에서, 재차, 기억으로서 의식에 재생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기억은, 재생되지 말고, 대뇌의 기억의 저장 기구 속에서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방대한 기억은, 개개 뿔뿔이 흩어지게 고도의 집단과 같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연상이 기억의 상기를 촉진하는 것부터 분명한 것 같게, 감각적 혹은 의미적・감정적으로, 연관 구조나 그룹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 속에서 기억에 새겨지고 있는 한은, 어떠한 기억이어도, 재생, 상기될 가능성은 완전한 제로는 아니게 된다.

사람의 일생에 있고, 재차, 상기될 가능성이 제로는 아닌다고 해도, 사실상, 일평생에 있어 두 번 다시 「의식의 영역」에 올라 오지 않는, 방대한 양의 기억이 존재한다. 주관적으로   평생 기억되지 않는 이러한 기억은 '의식의 바깥'에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의식의 너머'. ", 과학적으로는 뇌의 신경세포 네트워크 어딘가에 새겨져 있으며, 주관적으로나 현상학적으로 "외부 의식"은  안에 존재하는 많은 양의 기억을 의미한다. "의식"은 무의식의  번째 의미가 된다.

무의식의 의미
무의식의 의미

무의식의 존재 2

기억은 의식의 유일한 대상이 아니다. 게다가 기억은 어떤 의미에서는 '구조화'되어 있는데, '무의식'이라는 방대한 기억이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지도 문제다.

인간에게는 얻을 것도 있다. 경험과 학습을 통해. 기억과 지식 외에도 자연적으로 또는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다고 밖에 말할 수 없는 '지식'과 '구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인간의 언어'가 있는데, 현재 지식에 따르면 인간만이 인간의 언어를 완벽하게 말할  있다. Norm Topsky의 생성 문법은 인간의 두뇌가 선천적으로 언어를 구성하는  필요한 능력이나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성장 과정에서 아이는 유한한 수의 단어를 갖게 됩니다. 단어는 물론  단어가 나오는 문장의 문맥도 기억됩니다. 그러나, 아이의 언어 생성 능력은, 그것까지 들은 적이 없는 문장, 따라서, 기억에는 존재하지 않는 문장을 말로서 이야기하는데 있다. 「기억한 적이 없는 문장」을 아이가 이야기하는 것은, 그것은 기억은 아닌 것이어, 그러면 어디에서 이러한 문장이 용출 하는 것인가.

그것은 「의식이 아닌 영역」, 또는 「무의식」으로부터 용출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톱스키가 생각한 보편문법의 구조는, 무의식의 영역에 존재하는 정서구조이다. 언어의 자연스러운 생성, 언어의 흐름의 생성은, 의식의 밖에서, 즉 의식의 심층, 무의식의 영역에서, 말과 의미를 둘러싼 정서를 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생성 문법에서는, 무의식이라든지 심층 의식이라고 하는 표현을 후에 피했지만, 언어의 선천적인 구조성의 주장에 변화는 없다).

이와 같이, 의식의 영역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의식의 밖의 영역, 즉 무의식의 영역에 기억이나 지식이나 구조가 존재해, 이러한 기억이나 구조가, 의식의 내용이나, 그 있는 그대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는 사실은, 가설이 아니고, 과학적으로 실증되는 사실이다. 뇌가 없으면 언어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니까.